|
|
|
|
|
|
 |
|
|
|
하늘은 땅에서 열린다 |
|
|
著者 |
: |
이재훈 |
|
定価 |
: |
円 |
|
ページ数 |
: |
372 |
|
ISBN |
: |
|
|
Cコード |
: |
|
|
寸法 |
: |
|
|
|
 |
|
カスタマーレビュー | | |
|
|
|
|
|
|
|
|
|
|
 |
内容紹介 |
|
|
“하늘나라는 우리가 이 땅에서 살다가 죽은 후에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. 우리는 이 땅에서 이미 하늘 나라의 백성이 되었습니다. 우리는 하늘나라의 백성답게 이 땅에서 소금처럼 자신을 녹이고 희생해야 합니다. 그렇게 세상에서 빛이 되어야 합니다. 이것이 하나님과 동행하며 걸어가는 좁은 길의 인생입니 다.” |
|
|
|
|
 |
本の紹介 |
|
|
예수님이 우리의 천국입니다. 이 땅에서의 삶이 힘겹고 고통스러워도 예수님과 함께라면 그것이 천국인 것입니다. 예수님이 십자가로 열어주신 천국, 당신도 열고 들어오십시오. 예수님도 땅에서 하늘을 여셨습니다.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온누리교회에서 <하늘은 땅에서 열린다>로 가진 40일 특별 새벽 기 도회에서 이재훈 담임목사의 설교만을 녹취하여 책과 오디오로 엮었다. 한 해를 정리하며 새로운 한 해 를 준비하는 성도들에게 마태복음에 담긴 산상 수훈의 말씀과 창세기 강해는 이 땅에서의 삶을 하늘나 라에서의 삶으로 바꾸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. 이 책을 통해 우리의 삶에 언제나 함께하시며 하늘나라의 비전을 심어주신 주님을 만나고 동행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. |
|
|
|
|
 |
目次 |
|
|
서문 1부 이미 시작된 하늘나라 1. 복되도다(마 5:1-12) 2. 소금과 빛이 되라(마 5:13-16) 3. 율법을 완전케 하다(1)(마 5:17-32) 4. 율법을 완전케 하다(2)(마 5:33-48) 5. 은밀하게 구제하라(마 6:1-4) 6. 은밀하게 기도하라(마 6:5-18) 7. 비판하지 말라(마 7:1-5) 8.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(마 7:13-23) 2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가는 삶 9. 조화와 질서를 이루는 창조 세계(창 1:14-25) 10. 쉼으로 완성되는 하나님의 창조(창 1:26-2:3) 11. 생명처럼 부어지는 하나님의 사랑(창 2:4-17) 12. 돕는 사람의 축복(창 2:18-25) - 4 - 3부 죄에 대한 대가 13. 쫓아내심, 하나님의 아픈 사랑(창 3:14-24) 14. 죄를 다스리지 못한 비참한 결과(창 4:1-15) 15. 하나님 없는 자손, 하나님 있는 자손(창 4:16-26) 16. 아담의 역사, 믿음의 역사(창 5:1-32) 17. 한탄과 근심, 새로운 소망(창 6:1-10) 18. 구원의 방주, 하나님의 언약(창 6:11-22) 19. 새로운 사명과 무지개 언약(창 9:1-17) 4부 부르심을 따르는 삶 20. 아버지의 실수와 자손들의 미래(창 9:18-29) 21. 세계민족의 역사, 번성하는 인류(창 10:1-32) 22. 인류 구원을 위해 택하신 한 사람(창 11:10-32) 23. 부르심과 온전한 순종(창 12:1-9) 24. 인간의 실수에도 무효화되지 않는 언약(창 12:10-20) 25. 세상의 길과 믿음의 길(창 13:1-18) 26. 가나안 땅의 미래 주인(창 14:1-16) 27. 축복을 받을 때와 거절할 때(창 14:17-24) |
|
|
|
|
 |
著者の紹介 |
|
|
온누리교회 2대 담임목사. 온누리교회에서 차세대 사역을 시작으로 맞 춤전도 사역을 개발하였고, 멀티사이트 교회로서의 전략 개발을 이끌었 다. 시대를 이끌어가는 창의적인 교회론을 추구하며 하용조 목사를 통해 주신 Acts29비전을 이어 나가고 있다. 명지대학교, 합동신학대학원(M.Div.),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(Th.M.), Gordon-Conwell Theological Seminary(D.Min. Candidate)에서 공부하였다. 두란노서원 『빛과 소금』 편집장과 뉴저 지초대교회 담임목사를 역임하였고, 현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 겸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. 저서로는 『주여, 우리에게 기도를 가르쳐 주소서』(두란노), 『순전한 복음』(두란노, 공저) 등이 있다. |
|
|
|
|
|
|
|
|
|
|
|
 |
|